-
2025-07-04
인도네시아, 5G NR n50 오픈최근 인도네시아 통신정보부(Kominfo)는 광대역 무선 액세스(BWA)와 관련되며 글로벌 5G 표준(IMT-2020)과 연결되는 새로운 법규 ‘통신부장관 령 2025년 제204호’를 발표했다. 이 법규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5G NR n50 주파수 구간(1432-1517 MHz)을 개방하고 TDD 모드를 지원한다. 또한, 관련 채널 대역폭은 ETSI TS 138 101-1 표준에 부합되도록 요구한다. -
2025-07-02
인도네시아, 현지 테스트 계획 발표인도네시아는 2026년 말까지 대부분의 통신 장비 테스트 작업을 현지로 이전할 계획이다. 인도네시아 통신 및 디지털부(Komdigi)는 2025년 6월 4일에 이 계획을 발표하였으며, 2026년 말까지 대부분의 테스트 작업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진행될 것을 목표로 하였다. -
2025-06-30
파푸아뉴기니 NICTA, ‘2025년부터 2030년까지 스펙트럼 전망 및 로드맵 초안’에 대한 대중상담 개시2025년 6월 11일, 파푸아뉴기니 국가 정보통신 기술 관리국(NICTA)은 ‘2025년부터 2030년까지 스펙트럼 전망 및 로드맵 초안’에 대한 대중상담을 위한 자문 문서를 발표했다. -
2025-06-27
태국, 2G/3G만 갖춘 장비 인증 및 수입 중단 ㄴ태국 국립방송통신위원회(NBTC)는 2025년 6월 “2G 및 3G 기술만 지원하는 통신기계 설비에 대한 수입 및 검측 인증 작업을 종료한다”고 공고했다. 이 공고는 2025년 6월 30일에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한다. -
2025-06-25
오스트레일리아, AS/NZS 62368.1:2022 표준 강제 시행2022년 6월 24일 AS/NZS 62368.1:2022 표준(음향 및 영상, 정보통신기술 장비에 대한 안전요구사항)이 공식 발표되었다. 이 표준은 3년 과도기를 가지며 2025년 6월 24일에 과도기는 마감되었으며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인증을 신청하는 모든 관련 제품은 AS/NZS 62368.1:2022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 테스트 보고서를 제공해야 한다. -
2025-06-23
우크라이나, 5G NR 주파수 구간 무선 기기 사용 규정 발표2025년 6월 4일, 우크라이나 국가 전자 통신, 무선 스펙트럼 및 우정 서비스 규제 위원회(NCEC)는 제81호 결의를 개정하여 무선 설비와 방사 설비의 사용 조건을 명확히 했다. -
2025-06-20
Nepal, IPv6에 대한 대중상담 개시2025년 6월 4일, 네팔통신관리국(NTA)은 네팔에서 IPv6 네트워크를 보급, 배포 및 관리하기 위한 ‘2082(2025)년 IPv6 이전조례’를 제정하였으며, 이 규정에 관한 모든 관계자들로부터 이 조례에 대한 의견을 구하고 있다. -
2025-06-18
칠레 SUBTEL, 제737호 결의 발표칠레통신규제기관(Subsecretaría de Telecommunications, SUBTEL)은 최근 현행 제1985호 결의를 갱신하기 위해 제737호 결의를 발표했으며, 새로운 결의는 단거리장비(SRD)의 인증 프레임워크에 대해 중대한 조정을 진행했다. -
2025-06-16
니제르 ARCEP 인증서 유효기간 3년으로 단축2025년 2월 18일 니제르 전자 통신 및 우편 규제국(ARCEP)은 형식 인증 법규를 개정하는 법령 00010/MCP/EN/SG/DL을 발행했다. 주요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다. -
2025-06-13
Qatar CRA, IoT 및 M2M 기술적 입장 서류 발표최근 카타르 통신 규제국 CRA는 혁신을 촉진하고 보안을 강화하며 카타르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사물인터넷(IoT)과 기계 대 기계(M2M) 기술에 관한 입장 문서를 발표했다.